top of page

제3회 한국전통상례문화국제학술대회 ‘상엿집-지상의 고통에서 영원의 행복으로’


ree

대한민국 유일의 전통상례문화 국제학술 대회

제3회 한국 전통상례문화 전승 및 세계화 방안

상엿집 : 지상의 고통에서 영원의 행복으로

깊어가는 가을날, 여러분과 함께 하여 기쁨니다.

지난해 상엿집 : 죽음과 삶을 잇는 기억의 장치라는 주제로‘제2회 전통 상례문화 전승 및 세계화를 위한 국제학술세미나’가 개최되어 국내는 물론 세계 학자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인류 공통의 관심사인 죽음에 대한 우리 민족의 생명정신이 오롯이 담겨 있는 전통 상례문화가 계속 전승되어 세계인들과 함께 나누어야 할 필요성은 성황리에 마친 두해에 걸쳐 개최된 세미나에서 충분히 입증되었습니다.

올해는 상엿집 : 지상의 고통에서 영원의 행복으로 라는 주제로 제3회 국제학술세미나를 개최합니다. 국내외의 상례 관련 석학들이 참여하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죽음이라는 근원적인 문제를 깊은 삶의 의미로 승화시킨 우리 정신문화의 가치가 한층 더 깊이 논의될 것입니다.

경산 하양 무학산에 위치한 국가지정문화재 제266호인 경산상엿집에서는 조선시대 전통상여행렬과 우리나라 최고 무관의 남해별신굿이 펼쳐지고, 다수의 전통상여 및 20여채의 요여 및 상례관련자료 가 전시되어 우리가 이어온 전통문화의 의미를 더 새롭게 할 것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참석하셔서 우리의 소중한 정신문화유산을 함께 누리면서 지켜 나가는 계기를 마련해 주시길 앙망합니다.




(사)나라얼연구소 소장 황영례

일 시 2016년 10월 28일(금) 9:50 ~ 10월 29일(토) 13:00

장 소 대구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관 301호, 경산상엿집(국가중요문화재 제266호) 마당

주관/주최 (사)국학연구소대구경북지부/ (사)나라얼연구소

후 원 경상북도 ․ 경산시․ 꼭두박물관 ․ 대구가톨릭대학교역사박물관 ․ 경북청년유도회 ․

매일신문사 ․ 대구국채보상운동기념업회

첫째 날 : 대구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관

2016.10.28.(금). 개회 및 기조강연 09:50 ~ 11:00 사회 송의호(중앙일보)

시 간

내 용




비고

09:50 ~10:20

개 회 및 축 사


황영례

(사)나라얼연구소장





김관용

경상북도지사





최영조

경산시장





최덕수

경산시의장


10;20~






10:50

기조





강연

온 생명으로 본 죽음의 문제

장회익

서울대 명예교수



10:50






~ 11:10

무대





공연

상여소리 및 살풀이 공연

박수관




계현순

동부소리 명창





국립무용단 무용 감독






SessionⅠ

주제 잃어버린 아픔이 위로로 11:10 ~12:30 사회 박주(대구가톨릭대학교)

시 간

내 용



비고

11:20 ~ 11:50

잃어버린 것과 잃어버리지 않은 것




-무형유산으로서의 상·장례문화-

함한희

전북대학교

대한민국


11:50 ~ 12:30

悼亡詩의 전통과 상실의 내면

최재남

이화여자대학교

대한민국

오찬 12:30 ~ 13:30                    대구가톨릭대학교           안내 서정미(나라얼연구소)

SessionⅡ

주제 아시아 상례 문화 풍속 14:00 ~ 17:40 사회 이숙진(이화여자대학교)

시 간

내 용



비고

13:30 ~ 14:10

A Proper Funeral as the Moral Act of the Living to the Dead: The Traditional Funeral of the Viet People in Viet Nam

Nguyen



Thi Hien

국립베트남문화예술연구소(VICAS)

베트남



14:10 ~ 14:50

Beliefs and Rituals Associated




with Death

Saifur




Rashid

다카대학교

방글라데시



14:50 ~ 15:00

휴 식




SessionⅢ

주제 영원한 안식에 대한 동서양 인식 15:40 ~ 18:00

사회 이경규(대구가톨릭대학교)

15:00 ~ 15:30

성철 스님의 다비식과 서구상례의 비교 연구

Bernard SENÉCAL

서강대학교

캐나다

15:30 ~ 16:00

한국전통상여의 특징

정종수

전국립고궁박물관장

대한민국

16:00 ~ 16:10

휴 식




16:10 ~ 16:40

[사례편람]에 기초한 남자 상복의 고증 및 제작

박민재

성균관대학교

대한민국

16:40 ~ 17:10

18세기 이후 거제 통영 연안 마을 애도 의례와 기억의 장치

이훈상

동아대학교

대한민국

17:10 ~ 18:00

총평 및 종합토론

양명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한민국

18:00

폐회




환영만찬 18:30 ~ 21:30 진행 방문일(변호사)

시 간

내 용



비고

18:30 ~ 21:30

환영만찬 인사

방문일

변호사

만찬장

둘째 날 하양 무학산 ‘경산상엿집’ 마당

2016. 10. 29(토). 10:00 ~ 12:00

특별행사Ⅰ

주제 이별과 그리움의 공존 10:00 ~ 12:00 사회 박규홍(경일대학교)

시 간

내 용



비고

10:00 ~





11: 00

조선선비 유월장 행렬




관련 자료 전시 설명





상여소리

상복 착용 및 행렬

참여 인원 약 100명





조원경



허윤도

나라얼연구소 이사장




11:00 ~ 12:30

남해안 별신굿 무관

정영만외 11인

국가지정무형문화재


‘남해 전통별신굿’ 주요 내용

중요무형문화재 제82호. 경상남도 통영시와 거제도를 중심으로 하여 한산도·사량도·갈도 등의 남해안지역에서 행하여지는 마을굿이다. 어민들의 풍어(豐漁)와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의로, 보통 3년에 한번씩 굿을 벌인다. 별신굿의 ‘별신’은 현지에서 ‘별손·벨손·벨신’ 등으로도 불리는데, 이 굿은 개(바다)를 먹이는 굿이라고 하고 있다. 굿거리에서 무녀는 부채와 무령(신방울)·신칼·손대 등을 일률적으로 사용하고, 악기는 악사 셋이서 각각 장구·징·꽹과리를 잡아 사용한다. 그러나 이따금 북을 사용하기도 하고, 특히 굿의 시작과 끝무렵에는 대금만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남해안별신굿은 동해안별신굿과 더불어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고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신앙성과 예술성·놀이성 면에서도 뛰어나다.

오찬 12:30 ~ 13:30 무학산연구소 마당

특별행사Ⅱ

주제 죽음과 삶을 잇는 기억 도구 - ‘경산상엿집 상여 전시 및 사진전’

09:00 ~ 13:00

행사명

내 용

비고

경산상엿집



전시 내용

국가문화재 제266호 경산상엿집의 사계절 및


전통 상여 행렬 사진




전통 목상여 - 만주상여, 청도상여, 안동상여등 다수



전통 요여 20채, 방상시등 각종 상여자료



 
 
 

댓글


bottom of page